가장 일반적인 인쇄매체인 신문을 예로 들었을 때, 최정순의 신문명조는 세로짜기 전용 또는 세로·가로짜기 겸용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가로짜기 전용 글자꼴 개발이 필요했다. 가로짜기 전용 글자꼴 개발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많은 신문사에서는 디지털 윤곽선 폰트의 장평을 변형하여 장체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폰트의 장평을 강제적으로 줄이면 가로 줄기는 그대로이지만 세로기둥은 굵기가 가늘어지게 된다. 그 변형률이 10%내외이므로 본문의 경우 육안으로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제목의 경우, 때에 따라 20~30%까지 변형하는 경우가 있어 글자의 왜곡이 심해진다. 글자꼴의 조형미와 완성도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나 당시에는 모든 신문에서 만연하게 사용되었고, 신문에서의 영향으로 일반 사용자들 또한 2000년대 초반까지 고민없이 잡지, 단행본 등의 인쇄물에서도 글자꼴의 비례를 변형시켜 사용하였다. 가로짜기가 본격화되면서는 세로짜기 신문의 활자와는 달리 가로가 좁고 세로가 긴 길쭉한 비례의 진짜 장체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조선일보는 산돌커뮤니케이션이 함께 가로짜기 전용 디지털 윤곽선 폰트 ‘조선명조’를 개발하였다. ‘조선명조’는 910 x 1000 비례의 장체로 개발되었고 한자 포함 통 26,195자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뒤이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도 가로짜기 전용의 개성 있는 대표글자꼴을 개발하였다. -- 유지원. (2009). 라틴알파벳의 이탤릭체와 한글의 흘림체 비교연구. 글짜씨, 1(1), 10-46.
팩트: 세로쓰기를 위한 폰트는 우선 장체가 아닌 평체의 폰트여야 하고, 세로쓰기를 할 때 모음 가장 오른쪽의 세로획이 동일한 선상에 떨어져야 한다. 그러니까 세로쓰기 전용 폰트를 써야 한다는 의미이다. 팩트2: 세로쓰기 빌런 컨셉을 잡는 것 좋은데 세로쓰기를 하려면 제발 제대로 좀 하자
좌측세로도 아니고 우측세로네 원본에 충실한게 아니라 가독성 똥망이라 세로 식질을 하더라도 좌측세로를 해야지 나는 일본인인데 한글을 쓰고 싶다라는 일본인들도 우측세로식질은 안함 지식이 없으면 그럴순 있는데 번역이나 타 언어 쓸 일본인들은 이거 알고 있어서 한글 쓸때 더더욱 신경 쓰더라